노트북에 USB C 타입이 보편화되기 시작했는데 많은분들이 기능상의 차이점에 대해서 헷갈려 하시는것 같아 정리해 둡니다.
일단 USB C는 포트 생김새일뿐입니다.
썬더볼트는 나머지 두기능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각 기능들은 별개로 동작하며, 별도의 내부 칩셋이 있어야 동작하는 종속적 기능입니다.
형태 | 표기 | 세부 | 기능 |
USB - C | DP - Alt mode | Display Port | 디스플레이 출력 |
USB - C | Thunderbolt 3 | 최대 100W전력을 주변기기에 공급가능, 양방향 데이터 전송, 데이지 체인 구성가능 | |
USB - C | USB PD | Power Delivery | USB 포트를 통한 노트북 고속 충전 |
심지어 제조사에서도 표기하지 않았는데 동작하는 기능이 있을 수 도 있습니다.
※주의점 보통 USB - C 의 DP ALT모드와 USB3용 디스플레이 확장 어뎁터는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USB3용 디스플레이 확장어뎁터는 어뎁터안에 따로 칩이 들어있어서 외부로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cpu에 부하가 추가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는 시스템을 약간 느리게 만들 수 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와는 달리 USB C alt dp모드의 경우에는 HDMI 포트로 연결하는것과 비슷한 효과를 냅니다.
USB DP ALT 모드지원 르누아르 노트북 구매 사용기를 올렸습니다.
[모니터] 노트북 QHD 외장 모니터 사용시 FreeSync 와 75Hz, DP와 HDMI 2440*1440
[모니터] 노트북 QHD 외장 모니터 사용시 FreeSync 와 75Hz, DP와 HDMI 2440*1440
※ 제품 조합에 따라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한가지 제품으로만 테스트 된것입니다. 전체 제품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사용중인 QHD 모니터가 FreeSync와 75Hz
fmri.tistory.com
'컴퓨터 HW SW >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로미움 사용한 브라우저 상호 북마크 교환가능 (0) | 2021.02.21 |
---|---|
노트북 HDMI 출력 해상도는 무엇이 결정하는가? (0) | 2020.07.07 |
노트북의 Onboard 램이란 무엇인가? 램 업그레이드 할 수 있나? (1) | 2020.06.28 |
코멧레이크 탑재 2020 그램이 나오긴 했는데... (0) | 2020.01.08 |
C드라이브 용량이 부족할때 해결방법 (0) | 2020.01.07 |